Git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Hub저장소에 프로젝트 여러 개 올리기 React강의를 들으며 수행하게 되는 프로젝트들을 github에 올려두려고 했는데, 각 프로젝트별로 repository를 만들게 되니, 너무 지저분해 보여서하나의 repository에 여러 프로젝트들을 저장해두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다. 하나의 저장소에 올린 후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관리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개발이 끝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자.(개발이 끝나기 전까지는 각자의 repository 사용) *만약 프로젝트 또한 완전히 local에 있었다면... 깃허브에서 repository 생성 후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 주소]git branch (브랜치 확인)git add .git commit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을 통해 repository에 프로.. 더보기 Local 원격저장소를 통해 DVC 사용하기 위와 같은 이유로... 구글 드라이브와의 연동은 결국 포기했다..Colab DVC를 상상했는데.... 흑이전에 GCP에서 진행하였던것과 달리, 이번에는 대신 local환경을 원격저장소로 사용해 보았다! 먼저, dvc파일들을 github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git의 원격 저장소를 github로 설정해 주었다.방법은 1. github repository 생성2. git remote add origin 3. git push -u origin main (github사이트가 켜지면 인증)으로 비교적 간단하다. 이후 git remote -v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제 local 원격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터리를 생성해 준 후,dvc remote add -d 를 통해 DVC의 원격저장소를.. 더보기 Git DVC를 본격적으로 사용해보려 했는데, github에는 자동으로 안올라가나..? 시각적으로 (gui)로 볼 수 없나...? 와 같은 생각이 들었다...Git과 github는 엄연히 다른데, 바보 같은 생각이었다. DVC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git의 사용 능력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이번 기회에 Git관련 내용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필자는 평소에도 "공식" 문서를 믿고, 애용하며,이 글 또한 Git 공식 홈페이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린다. Git이란?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들(Version Control System)이 local VCS -> CVCS(중앙 집중형 버전 제어 시스템) -> DVCS 로 점차 진화해왔으며,Git이란, DVCS(분산 버전 제어 시스템)의 한 종류이.. 더보기 DVC : Data Version Control DVC의 사용 목적과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DVC란?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담겨지는 데이터나 이용하는 모델이 지속적으로 바뀌는데, 이에 대한 버전관리를 도와주는 도구로 "데이터를 위한 Git" 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DVC의 작동 방식 Local Cache를 두어, 데이터 중복 방지 및 빠른 데이터 접근을 제공 (해시 기반 관리) Local Workspace와 Local cache에 중복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것을 방지하고자,작업공간의 캐시된 데이터에 대해 파일 링크를 생성. reflink(Copy-on-Write), hardlink, symlink 中 1세 가지 모두 해당 파일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면 copy(직접 복사)의 방식을 사용하여 캐시에 저장메타데이터를 ... 더보기 이전 1 다음